이제 일상에서 쳇GPT로 업무 문서나 레포트 작성, 운동루틴 부터 아이디어 구상까지 못하는 게 없을 정도고, 하루에 쓰는 횟수도 많아지고 있어요.
저는 그러다 보면 찐 아이디어 정보를 얻을 때가 있습니다. 나중에 꼭 쓰려고 하는 명언이나 넌센스 퀴즈 같은것도 저장을 하죠. 요런걸 실수로 삭제하지 않고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능이 챗GPT의 아카이브 입니다.
근데 저는 맨날 구글 제미나이만 쓰다가 챗GPT를 오랜만에 사용했더니 아카이브에 보관한 대화가 채팅 목록에서 없어져서 굉장히 당황했던 적이 있어요.
알고보면 간단한 챗GPT 아카이브 보관 및 해제방법을 제미나이와 비교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챗GPT 채팅 아카이브 보관
아카이브는 저장목록이나 저장소라는 뜻이에요. 내가 채팅목록을 깔끔하게 유지하면서 중요한 대화 내용은 따로 안전하게 저장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먼저 채팅목록 중에서 보관하고 싶은 채팅목록위에 마우스를 올립니다.
2. 점 세게를 클릭하고 아카이브 보관을 선택하시면 보관이 되고 현재 채팅목록에서 사라집니다.
사라진 아카이브 채팅목록 어디있나?
첨에 제가 가장 킹받는 부분이었죠. 아카이브 된 대화는 채팅목록에 없고 따로 찾아야 합니다.
1. 챗GPT 화면 아래 내 프로필 이름 클릭
2. 메뉴에서 설정 선택하기
1. 설정 창에서 데이터 제어 메뉴 클릭합니다.
2. 아카이브에 보관된 채팅 옆에 관리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이렇게 아카이브에 저장된 채팅목록을 볼 수 있어요. 우측의 메뉴는 보관 취소와 삭제입니다.
보관취소를 누르면 다시 채팅목록으로 가고, 삭제는 완전히 없어지는 거니까 유의하세요.
챗GPT아카이브와 구글 제미나이 고정 차이점
제가 챗GPT의 아카이브 기능이 낮설었던 이유가 구글 제미나이의 고정(핀처럼 생김)기능에 익숙했기 때문이에요.
구글제미나이 고정 기능
고정 기능은 중요한 대화를 채팅 목록의 최 상단에 항상 보이도록 띄워 놓는 방식입니다.
마치 카페 게시판 공지 글처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직관적이에요.
저도 아이디어 계속 볼 건 고정해서 사용합니다.
쳇GPT 아카이브 기능
아카이브 보관 기능은 중요한 대화를 현재 목록에서 숨겨서 보관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목록은 깔끔한데, 해당 채팅을 찾으려면 설정 메뉴에서 찾아야하니 상당히 번거롭고요.
사실 저는 중요한거 맨날 저장해 놓고 안보이면 그사실도 까먹는편이라서 챗GPT 아카이브 보관 기능이 살짝 아쉽긴 합니다.
그래도 어떤 방식이 더 좋다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자주 확인해야 하는 건 제미나이, 잘 보관하는 자료는 챗GPT가 더 적합할 수 있으니 입맛에 맞게 사용하세요.